듀오 스토리

휴먼라이프연구소 보기

2024 미혼남녀 이상적 배우자상

h241209101614.jpg


이상적인 남편은 ▲신장 178.3cm ▲연소득 9,465만원 ▲자산 4억1,407만원 ▲2.1세 연상 ▲4년제 대졸 ▲일반 사무직 남성이었다. 이상적인 아내는 ▲신장 163.6cm ▲연소득 6,851만원 ▲자산 2억4,777만원 ▲2.6세 연하 ▲4년제 대졸 ▲일반 사무직 여성으로 나타났다.


[이상적 배우자 연령]

▶ 이상적 배우자의 연령은 ‘전혀 상관 없다’(남 41.7%, 여 35.7%)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이어 남성은 ‘3~4세 연하’(17.2%), ‘동갑’(14.8%), ‘1~2세 연하’(8.2%), 여성은 ‘3~4세 연상’(22.0%), ‘1~2세 연상’(13.8%), ‘동갑’(13.8%) 순으로 선호했다. 대체적으로 남성은 ‘연하’(34.9%)를, 여성은 ‘연상’(41.3%)을 선호하는 양상을 보였다.

▶ 응답자 특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은 연령과 연소득이 높을수록 자신보다 더 젊은 여성을, 여성은 연령이 높을수록 본인과 비슷한 연령의 남성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 남성은 ‘평균 2.6세 연하’, 여성은 ‘평균 2.1세 연상’의 배우자를 원했다.


[이상적 배우자 직업] (최대 3개 선택)

▶ 이상적인 배우자 직업은 ‘일반 사무직’(54.3%), ‘전문직’(43.7%), ‘공사/공기업/공무원’(40.3%), ‘금융업’(30.0%), ‘일반 사업가’(19.7%), ‘의료직 일반 분야 종사자’(14.6%), ‘문화/예술/스포츠 분야’(13.8%), ‘프리랜서’(13.4%) 순으로 선호했다.

▶ 이상적인 남편의 직업으로는 ‘일반 사무직’(54.7%), ‘전문직’(53.0%), ‘공사/공기업/공무원’(41.3%), ‘금융업’(33.0%), ‘일반 사업가’(24.8%), ‘생산직/기술직(제조업, 건설업 등)’(13.0%), ‘문화/예술/스포츠 분야’(11.9%), ‘의료직 일반 분야 종사자’(11.1%), ‘항공 분야 종사자’(9.6%), 이상적인 아내의 직업은 ‘일반 사무직’(53.9%), ‘공사/공기업/공무원’(39.2%), ‘전문직’(34.3%), ‘금융업’(27.0%), ‘프리랜서’(18.2%), ‘의료직 일반 분야 종사자’(18.1%), ‘문화/예술/스포츠 분야’(15.7%), ‘일반 사업가’(14.6%) 순으로 조사됐다.


[이상적 배우자 연소득]

▶ 원하는 배우자의 연소득은 남성의 경우 ‘중요하지 않다’(42.8%), 여성은 ‘7000만원 이상’(46.4%)이 가장 많았다. 이어 남성은 ‘7000만원 이상’(17.9%), ‘5,000만원 이상~6,000만원 미만’(16.5%)을, 여성은 ‘중요하지 않다’(29.9%), ‘5,000만원 이상~6,000만원 미만’(11.2%)을 바랐다.

▶ 이상적 남편의 평균 연소득은 9,465만원, 이상적 아내의 평균 연소득은 6,851만원이다. 실수령액으로 보면 남성은 월 약 626만원, 여성은 월 약 474만원을 버는 셈이다.


[이상적 배우자 자산규모]

▶ 배우자 자산규모는 ‘중요하지 않다’(남 51.1%, 여 41.8%)는 의견이 가장 많았다. 이를 제외하면 남성은 ‘1억원 이상~1억5,000만원 미만’(18.1%), 여성은 ‘1억5,000만원 이상~3억원 미만’(14.0%)을 선호했다.

▶ 이상적인 배우자 평균 자산규모는 남편 ‘4억1,407만원’, 아내 ‘2억4,777만원’으로 집계됐다.


[이상적 배우자 학력]

▶ 이상적인 배우자 학력으로는 과반이 ‘4년제 대졸 이상’(남 49.6%, 여 59.7%)을 선호했다. ‘중요하지 않다’는 응답은 남 34.0%, 여 27.4%였다. 남성의 경우 여성에 비해 배우자의 학력이 ‘중요하지 않다’는 응답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상적 배우자 신장]

▶ 남성은 아내의 키가 ‘중요하지 않다’(55.7%)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이어 ‘165cm 미만’(21.7%), ‘165cm 이상~170cm 미만’(17.6%) 순이었다. 여성은 남편의 키로 ‘175cm 이상~180cm 미만’(37.0%)을 가장 원했으며, ‘180cm이상~185cm미만’(32.4%), ‘중요하지 않다’(18.7%) 순으로 답했다.

▶ 이상적인 배우자 평균 신장은 남녀 각각 ‘178.3cm’, ‘163.6cm’이다.


[배우자 선택 시 우선 고려사항] (최대 3개 선택)

▶ 배우자 선택 시 남녀 모두 ‘성격/성향’(남 74.1%, 여 80.7%)을 우선적으로 고려했다. 이어 남성은 ‘외모’(53.0%), ‘가치관’(52.2%), ‘취미/관심사’(33.4%), ‘건강’(20.6%), ‘가정 환경’(17.2%)을, 여성은 ‘가치관’(55.1%), ‘외모’(36.5%), ‘취미/관심사’(26.4%), ‘가정 환경’(24.9%), ‘직업’(21.9%)을 중요시했다.

▶ 남성의 경우 ‘외모’, 여성의 경우 ‘직업’과 ‘소득자산’에 대한 고려도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결혼 적령기와 결혼 계획]

▶ 남녀 모두 결혼 적령기에 대해 ‘적합한 나이는 따로 없다’(남 50.8%, 여 61.3%)고 답했으며, 이를 제외한 결혼 적령기 평균 나이는 남 ‘32.4세’, 여 ‘32.3세’로 집계됐다.

▶ 결혼을 계획하고 있는 시기에 대해서도 대다수가 ‘정해진 바 없다’(남 62.4%, 여 66.9%)고 답했다. 이를 제외하면 결혼 계획 나이는 남 ‘34.1세’, 여 ‘32.9세’로, 올해 통계청이 발표한 평균 초혼 연령(남 34세, 여성 31.4세)과 비교하면 남성은 0.1세, 여성은 1.5세 더 높게 나타났다. 남녀 모두 연령이 높아질수록 결혼 계획이 늦어지는 경향을 보였다.

바로 문의 남기기

문의 하실 내용은 무엇인가요?

바로 문의 남기기

성별과 출생년을 입력해 주세요

바로 문의 남기기

이름과 거주지역을 입력해 주세요

바로 문의 남기기

답변 받으실 번호를 입력해 주세요

[자세히보기]
[자세히보기]